3 분 소요

선택 분류 문제의 신경망 처리

선택 분류 문제는 몇 가지 정해진 후보 가운데 하나를 골라 답하는 문제이다.

선택 분류 신경망은 이진 판단에서처럼 각 후보 항목에 대한 로그 척도의 상대적 추천 강도, 즉 로짓값을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퍼셉트론 하나가 후보 하나에 대한 로짓값을 출력하므로, 후보 수 만큼 퍼셉트론이 있어야한다.

로짓값은 상대적인 가능성을 로그를 이용해 나타낸 것이다. A항목의 로짓값이 3이고 B항목의 로짓값이 1이면, B보다 A를 답으로 추정할 확률이 $e^{3-2} = e^2$배 크다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로짓값이 클수록 확률도 크므로 굳이 확률로 변경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로짓값만으로는 학습방법을 찾기 힘들다.

따라서 로짓값을 확률 분포로 변경하는 소프트맥스 함수와, 두 확률 분포의 차이를 보여주는 소프트맥스 교차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모델을 학습한다.

소프트맥스 함수

소프트맥스 함수는 로짓값 벡터를 확률 분포 벡터로 변환해주는 비선형 함수이다. 다음 글에서 살펴볼 철판 문제는 철판을 27가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7가지로 분류하여야한다. 미니배치 크기를 N이라 할때 미니배치 데이터는 [N,27]의 형태를 갖고, 퍼셉트론 7개로 구성된 단층 퍼셉트론은 [27,7] 형태의 가중치와 [7] 형태의 편향정보를 갖는다. 따라서 퍼셉트론은 텐서 연산으로 [N,7]의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 [N,7] 의 데이터는 데이터 N개에 대해 각각 7가지 후보들의 로짓값을 나타내는 벡터들로 해석한다.

쉽게 4가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3가지로 분류한다고 가정하자. 미니배치 크기를 5라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미니배치 데이터는 [5,4], 가중치는 [4,3], 편향정보 [3], 출력 값 [5,3] 단, 가중치를 앞에 두기 위해 가중치를 [3,4], 미니배치 데이터를 [4,5]로 배치한다).

\[\begin{pmatrix} y_{11} & y_{12} & y_{13} & y_{14} & y_{15} \\ y_{21} & y_{22} & y_{23} & y_{24} & y_{25} \\ y_{31} & y_{32} & y_{33} & y_{34} & y_{35} \end{pmatrix} = \begin{pmatrix} w_{11} & w_{12} & w_{13} & w_{14} \\ w_{21} & w_{22} & w_{23} & w_{24} \\ w_{31} & w_{32} & w_{33} & w_{34} \end{pmatrix} \begin{pmatrix} x_{11} & x_{12} & x_{13} & x_{14} & x_{15} \\ x_{21} & x_{22} & x_{23} & x_{24} & x_{25} \\ x_{31} & x_{32} & x_{33} & x_{34} & x_{35} \\ x_{41} & x_{42} & x_{43} & x_{44} & x_{45} \end{pmatrix}\]

여기서 $y_{ab}$ 에서 a는 a번째 항목, b는 b번쨰 data를 의미한다. 즉 $(y_{11},y_{21},y_{31})$ 은 첫번째 데이터(철판의 각종 데이터)를 통해 추정한 각 결과 항목(예. 철판 분류항목)의 로짓값이다. 또한 $w_{xy}$ 에서 x는 x번쨰 퍼셉트론, y는 y번쨰 입력값(4가지 입력 데이터 중 몇 번째)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x_{cd}$ 에서 c는 4가지 입력 데이터 중 c번째, d는 d번쨰 데이터 셋을 의미한다.

로짓값들은 클수록 확률이 큰 것이기 때문에 굳이 확률값으로 변환하지 않고도 어떤 것을 골랐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확률을 눈으로 확인할 때와 소프트맥스 교차엔트로피 편미분에서 필요하다.

소프트맥스의 입력값은 로짓값 벡터이고 출력 값은 각 후보 항목이 정답일 확률들로 구성된 벡터이다. 확률은 합이 1이고 각 확률은 0이상 1이하의 값을 가져야하므로 소프트맥스 함수의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y_i = \frac{e^{x_i}}{e^{x_1} + ... + e^{x_n}}\]

이제 위 식을 증명해보자. 입력으로 들어온 로짓값 벡터 $x_1, …, x_n$에서 $x_i$ 는 로짓값, 즉 상대적인 확률값이므로, 기준 확률을 $\alpha$ 라 하면 실제 확률은 $\alpha e^{x_i}$ 이다. 전체 확률 합은 1이므로 $\alpha \sum e^{x_i} = 1$ 이고, 따라서 $\alpha = \frac{1}{e^{x_1} + … + e^{x_n}}$ 이다. 따라서 실제 확률 $y_i = \alpha e^{x_i} = \frac{e^{x_i}}{e^{x_1} + … + e^{x_n}}$ 이다.

그러나 위 식은 계산 과정에서 오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최댓값 $x_k$를 찾아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frac{e^{x_i-x_k}}{e^{x_1-x_k} + ... + e^{x_n - x_k}}\]

처음 소프트맥스 값을 쓰지 않는 이유는 먼저 $x_i$ 값의 제약이 없으므로 $x_i$ 가 매우 커져 $e^{x_i}$ 값이 오버플로우가 될 수 있고, $x_i$ 의 값이 모두 매우 작아지면 분모가 0으로 계산되면서 0으로 나누기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분모와 분자를 상대적 확률값의 최대값 $e^{x_k}$로 나누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x_i - x_k \leq 0$ 이므로 $e^{x_i - x_k}$ 는 항상 0보다 크고 1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분모와 분자가 지나치게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오버플로우 오류가 방지되며, $e^{x_k-x_k}$(=1) 항이 분모에 항상 있으므로, 0으로 나누기 오류도 방지된다.

소프트맥스 함수의 편미분

소프트맥스 함수의 입력으로 들어오는 로짓값 벡터의 모든 값 $x_i$ 가 출력으로 나오는 확률 분포의 모든 값 $y_i$에 영향을 미치므로, 편미분은 모든 $(x_i,y_i)$ 에 대해서 구해져야한다. 또한 모든 입출력 벡터의 모든 원소 쌍에 대한 편미분 $\frac{\partial y_j}{\partial x_i}$ 값으로 구성된 자코비 행렬을 구해야 한다.

각 편미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rac{\partial y_j}{\partial x_i} = -y_i y_j (i \neq j)\] \[\frac{\partial y_j}{\partial x_i} = y_i - y_iy_i = y_i - y_i^2 (i = j)\]

소프트맥스 교차 엔트로피

앞서 P에대한 Q의 교차 엔트로피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고 하였다.

\[H(P,Q) = - \sum p_i \log q_i\]

이때 신경망이 추정한 로짓 벡터에 소프트맥스 함수를 적용한 벡터를 Q, 실제 확률 분포를 P로 하면 된다. 반대로 하면 일반적으로 실제 확률 분포는 1또는 0이므로, log 값이 0또는 $ - \infty$ 가 된다.

또한 로짓값이 매우 작으면 log를 취할때 문제가 있으므로 아주 작은 양수값 $\epsilon$ 을 더해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H(P,Q) = - \sum p_i \log (q_i + \epsilon)\) 일반적으로 $\epsilon$ 은 아주 작은 양수값으로 정하므로 영향이 적고, $q_i$가 작다고 하더라도 $\epsilon$ 을 더하여도 매우 작은 확률로 계산되어 선택되지 않는다.

소프트맥스 교차 엔트로피의 편미분

신경망이 추정한 로짓 벡터 $x_1,…,x_n$, 정답 벡터 $p_1,…,p_n$, 로짓벡터에 소프트맥스 함수를 적용하여 나온 확률 분포 $q_1,…,q_n$ 이 있을 때 소프트맥스 교차 엔트로피의 편미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rac{\partial H}{\partial x_i} = q_i - p_i\]

또한 벡터로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oftmax(\textbf x) - P\]

시그모이드 함수와 소프트맥스 함수의 관계

시그모이드 함수는 두 후보(A임 또는 A가 아님)항목을 갖는 소프트맥스 함수의 입력 벡터 $(x_1,x_2)$ 에서 $x_2 = 0$ 으로 설정하고 A일 확률이 A가 아닐 확률의 몇배인지를 나타낸 것으로, 소프트맥스 함수 $y_1 = \frac{e^{x_1}}{e^{x_1} + e^{x_2}}$ 에서 $x_2 = 0$ 그리고 분모와 분자를 $e^{x_1}$ 으로 나누면 시그모이드 함수가 나온다.

이진판단에서는 참일 확률만 알면 거짓일 확률은 1에서 참일 확률을 뺀 것이기 때문에 참일확률만 구해도 된다.

소프트맥스 함수에도 확률 총합이 1임을 이용하여, 한 항목을 기준잡아 항상 로짓값을 0으로 간주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해 소프트맥스 함수와 교차 엔트로피를 구해도 된다. 그러나 기준이 되는 한 항목의 확률을 구하기 위해 1에서 나머지 확률값을 빼주는 추가적인 연산이 들어가므로 잘 쓰이지 않는다.

그리고 소프트맥스 함수 대신 시그모이드 함수를 써도 큰 문제는 없다. 로짓값 벡터에 소프트맥스 함수를 적용하면 각 항목의 확률의 합이 1이 되지만, 소프트맥스 함수를 적용하면 로짓값 벡터에 있는 각 로짓값이 나타내는 항목 A에 대하여, (A일 확률,A가 아닐 확률)의 합이 1이 되는 것이다. 이때도 가장 큰 확률인 것을 고르면 되고, 학습이 잘 되면 특정 항목에 대한 확률 값이 1에 수렴하고 나머지 항목의 확률 값은 0에 수렴한다.

Reference

  • 윤덕호 저, [파이썬 날코딩으로 알고 짜는 딥러닝], 한빛미디어, 2019

댓글남기기